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트렌드 기업이 발표한 5가지 글로벌 트렌드

짧은상식 2025. 3. 12.

2025년을 이끌 5가지 글로벌 트렌드

세계적인 트렌드 예측 기업 WGSN이 2025년을 주도할 트렌드 키워드를 발표했다. WGSN은 라이프스타일, 패션, 디자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소비자들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기관으로, 특히 글로벌 브랜드들이 전략을 세울 때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곳이다. 올해 WGSN이 발표한 8개의 키워드 중에서 디자이너, 브랜드 관계자, 그리고 트렌드를 읽고 싶은 사람들에게 가장 유용할 다섯 가지 트렌드를 깊이 있게 살펴본다.

1. Therapeutic Laziness (치유를 위한 게으름)

트렌드의 생성 배경

현대 사회는 끊임없는 성취와 생산성을 요구하지만, 과도한 경쟁과 업무 스트레스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의도적인 게으름'을 통해 정신적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 SNS에서 화제가 된 ‘베드 로팅(Bed Rotting)’은 이러한 흐름을 대표하는 키워드로, 침대에서 하루 종일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보내며 심리적 안정을 찾는 행위를 뜻한다.

트렌드가 불러올 변화

  • 수면 및 휴식 관련 제품 시장 확대: 수면의 질을 높이는 스마트 침구, 향균 기능이 강화된 베개, 숙면을 유도하는 사운드 테라피 기기가 더욱 인기를 끌 전망이다.
  • 비생산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콘텐츠의 증가: ASMR, 슬로우 TV, 명상 앱 등 심신의 안정을 돕는 콘텐츠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 힐링 여행 및 수면 관광: 호텔업계에서는 ‘수면’을 테마로 한 여행 패키지를 출시하며, 럭셔리 수면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The Forever Young Adult (영원한 청년기)

트렌드의 생성 배경

경제 불안정성과 사회 구조 변화로 인해 30대까지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어린 시절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제품과 경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성인이 된 후에도 장난감, 보드게임, 캐릭터 굿즈 등을 다시 소비하는 ‘키덜트 문화’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트렌드가 불러올 변화

  • 키덜트 산업의 지속 성장: 과거의 인기 캐릭터가 재조명되면서 관련 피규어, 굿즈, 컬렉터블 아이템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 레트로 감성을 살린 제품 출시: 80~90년대 감성을 재현한 패션, 음악, 게임이 꾸준한 인기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변화: 단순한 연령 구분이 아니라, 소비자의 ‘마음가짐’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중요해질 것이다.

3. Future Dusk (퓨처 더스크)

트렌드의 생성 배경

WGSN은 매년 색채 전문 기업 Coloro와 협력하여 ‘올해의 컬러’를 선정하는데, 2025년에는 ‘퓨처 더스크(Future Dusk)’가 그 주인공이 되었다. 보랏빛이 감도는 짙은 파란색으로, 몽환적이면서도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트렌드가 불러올 변화

  • 패션 및 뷰티 산업에서의 활용 증가: 의류, 액세서리, 메이크업에서 퓨처 더스크 컬러를 활용한 제품이 많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인테리어 및 제품 디자인에 영향: 신비롭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강조하는 가구, 벽지, 조명 디자인에서도 이 색상이 많이 사용될 전망이다.
  •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응용: 메타버스, 가상현실(VR) 속에서 퓨처 더스크의 색감을 활용한 인터페이스와 비주얼 트렌드가 주목받을 것이다.

 

4. Fake Food (가짜 음식 디자인)

트렌드의 생성 배경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실물과 가상 세계의 경계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각적 유희를 극대화한 ‘가짜 음식 디자인’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아이스크림 모양의 강아지 장난감, 햄버거 모양의 러그, 팝콘 모양의 꽃병처럼, 실용적이면서도 장난기 넘치는 디자인 제품이 주목받을 예정이다.

트렌드가 불러올 변화

  • 홈 데코 및 생활용품 시장의 변화: 식품을 본뜬 쿠션, 러그, 테이블웨어 등의 디자인 제품이 인기 상승할 전망이다.
  • SNS 중심의 바이럴 마케팅 증가: 시각적으로 흥미로운 제품일수록 SNS에서 화제를 모으기 쉬워 관련 콘텐츠가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 리얼리즘과 유머가 결합된 디자인 강화: 리얼한 디테일과 과장된 유머가 섞인 디자인 요소가 인테리어 및 패션 분야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다.

5. AI Companionship (AI와의 동반자 관계)

트렌드의 생성 배경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이 점점 더 큰 문제로 대두되면서, 세계보건기구(WHO)는 ‘외로움’을 글로벌 보건 위협으로 규정했다. 이에 따라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감정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동반자’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트렌드가 불러올 변화

  • AI 기반 감성 지원 서비스 확산: 감정 분석 AI, AI 심리 상담, 가상 캐릭터 기반의 감성 지원 서비스가 더욱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 로봇 및 AI 에이전트의 역할 확대: 노년층을 위한 AI 돌봄 로봇, 감성 교감을 제공하는 AI 펫 등 다양한 형태의 AI 제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 디지털 휴먼과의 상호작용 증가: 가상 인플루언서, AI 기반 연애 시뮬레이션, 개인 맞춤형 AI 친구 등의 서비스가 더욱 정교해질 전망이다.

배드 로팅
치유를 위한 게으름

다섯가지 트렌드를 알아봤는데 어떠신가요? 여러분은 올해 이 트렌드에 맞는 인생을 살고 계신가요. 저는 아직은 먼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우선 자유를 위한 게으름을 즐기러 가야 겠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