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으로 방학이 미뤄진다고?
조기 대선으로 방학 미뤄진다
아이들의 여름은 더 짧아질 것이다
대한민국 현대 정치사에 기록될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 결정 이후, 그 파장이 국민 일상 구석구석에 스며들고 있다.
정치와 무관해 보였던 곳, 바로 학교도 예외는 아니다.
곧 치러질 조기 대통령 선거가 초·중·고등학교의 방학 일정마저 흔들고 있다.
조기 대선은 언제?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 이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한다.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날짜는 아래와 같다.
- 5월 26일(월)
- 5월 27일(화)
- 6월 2일(월)
- 6월 3일(화)
특히 6월 3일은 고등학생들이 치르는 전국연합학력평가일과 겹치며, 교육계의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공식 선거일은 4월 14일 이전에 확정될 예정이다.
투표일 = 학교 휴업일?
우리나라 대다수 초·중·고등학교는 투표소로 활용된다.
따라서 선거일에는 정상적인 수업이 어렵고, 학교는 임시휴업일로 지정될 수밖에 없다.
서울시교육청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학사일정 조정을 예고했다.
각 학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업일수를 맞추게 된다.
- 재량휴업일 축소 또는 취소
- 방학 일정 조정
- 여름방학 시작일 연기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방학이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여름방학은 짧아진다
아이들에게 여름방학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다.
학기를 마무리하고, 스스로를 정비하고, 진로를 고민하며 재충전하는 소중한 시간이다.
하지만 올해는 그 시작이 늦춰진다.
선거로 인한 휴업일을 메우기 위해, 학교 측은 여름방학 시작일을 조정할 수밖에 없다.
특히 중간·기말고사와 겹치는 일정 변화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학부모의 현실적 걱정
방학 연기는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맞벌이 가정은 계획된 가족여행이나 방학 돌봄 서비스 일정에 큰 혼선을 겪을 수 있다.
학원 일정이나 캠프, 조기 유학 프로그램까지 영향을 받는다면 피해는 현실이 된다.
선거는 국가의 일, 교육은 모두의 삶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에 살고 있다.
대통령 선거는 당연히 중요하다.
그러나 정치적 결정의 무게가 아이들의 일상에 그대로 전가되는 상황을 그저 당연하다고 여겨도 되는 걸까?
조기 대선은 국민의 권리이자 국가의 의무이지만, 그 여파를 조율하고 흡수하는 일은 결국 교육 당국의 몫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유연하고 탄력적인 학사 운영으로 아이들의 여름을 지켜낼 수 있을까?
결론: 방학이 밀린다는 것은
- 단 하루의 선거일로 인해,
- 단 수십 분의 투표로 인해,
- 수백만 명의 학생과 교사, 학부모의 계획이 달라진다.
2025년 여름, 대한민국의 초·중·고 학생들은 조금 더 늦은 여름방학을 맞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정치의 시간이 교육의 시간을 잠식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무엇을 고민해야 할까?
댓글